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꿀벌의 모든 것 + 벌에게 쏘였을 때 벌침 제거 방법

카테고리 없음

by 꿀벌레레 2023. 4. 26. 10:23

본문

반응형

오늘은 제 블로그 닉네임이기도 한

꿀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꿀벌은 이름 그대로 꿀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벌인데,

꿀벌로부터 채취한 꿀이 바로

우리가 벌꿀이라고 부르는 음식 재료랍니다.

 

지금은 사람들이 직접 벌을 기르지만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야생 꿀벌로부터

꿀을 채취해서 먹었다고 해요.

 

꿀벌(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꿀벌은 육각형 모양의 벌집을 건설해서

군체를 이루어 살고 있어요.

한 군체는 일벌, 수벌, 여왕벌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왕벌만이 유일하게 알을 낳을 수 있대요.

일벌은 불임성 암벌이고, 수벌은 생식벌이에요.

 

수벌은 독침이 없으며,

일벌과 여왕벌은 독침을 가지고 있어요.

일벌이 가지고 있는 독침은 천적을 만나면 사용하는데, 

보통 포유류, 조류에 침을 사용하면 죽는답니다.

 

이유는 거꾸로 된 가시 때문인데요.

곤충들에게 침을 박을 때 쉽게 빼려고

일벌들은 거꾸로 된 가시를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이게 포유류나 조류에게는 역효과가 나요.

그래서 침을 빼려고 하면 침이 내장과 함께

빠져나가면서 일벌이 죽고 말아요 ㅠㅠ

 

참고로 여왕벌은 거꾸로 된 가시가 없고,

다른 여왕벌과 싸울때만 사용한답니다.

 

그렇다고 침을 가지고 있는 꿀벌들을

너무 겁낼 필요는 없어요.

꿀벌은 벌 중에서도 유순한 성격을 가지고 있고,

영리하고 겁이 많대요. 사람이 건들지만 않으면

보통은 먼저 공격하지 않는다고 해요. 

 

만약 벌에 쏘였을 때에는?

벌에 쏘였다면 손이나 핀셋으로

벌침을 뽑으려고 하시면 안돼요!

그러면 오히려 더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니

신용카드, 명함 등 납작한 것으로

긁는 듯이 벌침을 제거해 주세요.

 

그리고 응급처치 시간으로부터 

1시간 정도 경과 후에도 발진, 두드러기 등

벌독 알레르기 증상이 보인다면 이 때는

응급실로 가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꿀벌(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꿀벌은 공동체 의식이 매우 강한 곤충이에요.

일벌이 먹이를 발견하면 먹이가 있는 곳을

팔자(8) 모양의 춤으로 알려줘요.

 

여왕벌은 결혼비행이라는 것을 하고

수벌과 교미하는데, 할 일이 끝난 수벌은

무리에서 추방 혹은 살해당해요. (헉...)

자연에서의 여왕벌 수명은 7년 정도이며, 

스스로 먹이를 먹거나 몸단장을 하지 않고

하루종일 시녀 일벌들의 시중을 받는답니다.

 

만약 여왕벌이 노쇠하거나,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로 신체가 훼손되어 산란 능력이 떵러지면

여왕벌도 숙청의 대상이 된답니다.

그렇게 되면 일벌들이 부화한 지 3일 이내의

일벌 애벌레를 급히 새로운 여왕벌로 길러낸대요.

 

어떻게 불임성 일벌로 태어난 애벌레가

여왕벌이 될 수 있는건지 궁금했는데요.

여왕벌이 될 애벌레에게 보다 많은 양의

로열 젤리를 장기간 제공하면,

난소 등의 생식 기관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되어

성충이 되었을 때, 여왕벌이 될 능력을

갖추게 된다고 하네요. 정말 신기했습니다.

 

양봉(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요즘은 사람들이 직접 벌을 길러서

꿀을 채취하고 있는데, 양봉이라고 부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2천년 전 고구려의

태조 대왕때부터 시작했다고 하고요.

 

벌에게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대표적으로 벌꿀이 있으며, 

그 외 로열젤리, 밀랍, 프로폴리스, 봉침 등

사람들에게 각종 부산물을 제공해 줘요.

뿐만 아니라 꽃가루를 꽃에서 꽃으로 옮겨

많은 식물들의 번식과 개체수 유지에 도움을 주는

아주 이로운 곤충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당연히 농사에도 도움이 되고요.


꿀벌의 세계는 정말 흥미진진하죠?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가 멸종한다고 할 정도로

꿀벌이 생태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환경오염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요즘 꿀벌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해요.

 

지구상에서 가장 부지런한 곤충! 

꿀벌이 멸종하지 않도록

우리도 자연이 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환경 보호를 앞장서서 실천하도록 해요.

반응형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