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면
- tistory.com 으로 끝나는 기본 주소가 부여됩니다.
이거 말고 com 이나 co.kr 로 끝나는
다른 도메인을 사용하고 싶다면,
별도로 도메인을 구입해서 연결해야 합니다.
애드센스에는 2차 도메인의 이점이 있어서
저는 다른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번에도 도메인 하나를 새로 구입했어요.
도메인을 구입해서 티스토리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저는 호스팅 KR 이라는 도메인 관리 업체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해요.
글로벌 IT 파트너 - 호스팅케이알(HK)
KISA 고객만족도 최다 선정, 도메인 최저가 제공, 기업/공공도메인, 도메인연결/웹호스팅 무료, 서버, 아마존클라우드(AWS), G Suite, 홈페이지제작 1644-7378
www.hosting.kr
도메인 검색창에 사용하고 싶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세요.
그러면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주소가 쭉 나와요.
저는 reibee 라는 도메인을 구입했습니다.
무슨 의미인지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D
도메인 구입을 했다면 DNS 서비스에서
CNAME 레코드, IP 등을 먼저 설정한 후에
티스토리에 연결할 수 있어요.
호스팅 KR 에서는 편리하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먼저 나의 도메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리스트에서 구입한 도메인을 찾아
우측의 ...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그 다음 DNS 레코드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화면이 바뀌면서 DNS 레코드 관리창이 나오는데요.
레코드 추가 드롭다운 버튼을 누르면
블로그-티스토리 항목이 있습니다.
선택해서 추가를 해주고 작업 아래에 있는
체크 버튼을 클릭하세요.
호스팅 KR 에서 해주어야 하는
도메인 설정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티스토리 DNS 레코드 설정이 미리 준비되어 있어서
빠르게 휘리릭 설정할 수 있었어요. (최고!)
레코드 설정을 마쳤으니 이번에는 티스토리에서
도메인 연결을 해주어야겠죠?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메뉴바에서
관리 > 블로그 카테고리를 선택하세요.
블로그 화면에서 스크롤을 쭉 내리다보면
개인 도메인 설정이라고 쓰여있는
타이틀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
우측의 도메인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 뒤에 구입한 도메인을 입력해줍니다.
한글 도메인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퓨니코드로 등록해야 한다는 사실도 참고하세요.
아! 도메인 주소를 변경하면 일시적으로
방문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그래서 애드센스 계획이 있는 블로그라면
가급적 초기 단계에서 도메인 연결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입력 후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도메인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주소 검색창에 구입한 도메인 주소인
http://reibee.co.kr 를 입력해보았습니다.
제 블로그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정말 간단하죠?
참고로 도메인 구입 비용은
1년 기준 10,000원 정도입니다.
댓글 영역